EMI안내
EMI GUIDE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저희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ECI)는 전시 및 컨벤션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목표로, 깊이 있는 연구와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MICE 산업 환경에서, 저희 연구소는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며, 최적의 전략과 컨설팅을 통해 고객 여러분의 성공을 지원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리며,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희 연구소는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의 조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시 및 컨벤션 산업의 최신 동향과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의 모든 연구원들은 열정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 여러분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함없는 신뢰와 지지를 부탁드리며, 저희 연구소가 여러분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ECI) 소장 이창현
저희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ECI)는 전시 및 컨벤션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목표로, 깊이 있는 연구와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MICE 산업 환경에서, 저희 연구소는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며, 최적의 전략과 컨설팅을 통해 고객 여러분의 성공을 지원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리며,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희 연구소는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의 조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시 및 컨벤션 산업의 최신 동향과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의 모든 연구원들은 열정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 여러분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함없는 신뢰와 지지를 부탁드리며, 저희 연구소가 여러분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ECI) 소장 이창현
특허 발명자(이창현 소장) 주요 이력 및 관련 논문
[주요 이력]
- 현)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 운영위원, 경기도 지역특화컨벤션 총괄 컨설팅 위원
- 현) 2024 경기도 전시참가기업 성과관리 용역 연구책임자(2024)
- 현) 코트라 해외전시회 참가기업 단위 성과분석 용역 연구책임자(2024)
- 현)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 소장/대표이사, 한국무역전시학회 부회장, 광주관광공사 ESG 경영위원
- 전)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컨벤션이벤트경영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 - 한국컨벤션전시산업연구원 부원장, 한국마케팅학회 이사, 한국컨벤션학회 이사, 한국마이스협회 부회장/교육개발위원장
- - 산업통상자원부/문화체육관광부/대한무역투자공사/한국관광공사/현대자동차그룹/한국무역협회 자문위원 外
- 학력)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마케팅 전공)
- 특허) 전시마케팅 성과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특허취득 기술 발명자
[주요 연구논문]
- (석사논문) 국내전시참가기업의 전시회 참가행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박사논문) Trade Show 참가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참가성과 차원 분석 및 성과 결정요인과의 관계
- • 2008. 10월 “Differential effects of determinants on multi-dimensions of trade show performance: By three stages of pre-show, at-show, and post-show activitie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7, pp.784-796 (SSCI 논문)
- • 2021.03월 “비영리조직(NPO) 전시회 개최사업의 성과측정 및 ROI 분석 연구”, 무역전시연구, 제16권 제1호, pp.63-82
- • 2019.12월 “서울지역 전시장 간 성과지표의 상관관계 연구”, 무역전시연구, 제14권 제4호, pp.31-50
- • 2019.03월 “무역전시회 수출상담회에서 전시회 에이전트의 서비스 요소별 중요도에 관한 실증연구”, 무역전시연구, 제14권 제1호, pp.25-41
- • 2018.06월 “국내 전시회의 기업 매출 증대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무역전시연구, 제13권 제2호, pp.45-55
- • 2017.04월 “다국적 전시회사의 기업전략에 관한 연구”, 무역전시연구, 제12권 제1호, pp.47-68
- • 2016.12월 “글로벌 전시장의 운영현황 및 전략 연구: 세계 50대 전시장을 중심으로”, 무역전시연구, 제11권 제3호, pp.193-215
- • 2015.12월 “국고지원 해외전시사업 평가체계 개선방안”, 무역전시연구, 제10권 제3호, pp.27-51
- • 2013.12월 “지역연관산업분석을 이용한 한국전자산업대전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공급 및 수요 지출을 중심으로”, 무역전시연구, 제8권 제2호, pp.21-41
- • 2013.06월 “전시산업 지표의 개발 및 활용을 통한 국내 전시산업 동향 분석”, 무역전시연구, 제8권 제1호, pp.75-90
- • 2011. 02월 “전시회 연계 관광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1 한국산업대전 연계 관광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무역전시연구, 제6권 제2호, pp.39-60
- • 2011. 06월 “미국 전시산업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상위 3대 전시장 및 전시회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무역전시연구, 제6권 제1호, pp.27-50
- • 2009. 02월 “세계 및 아시아 주요국가간 컨벤션 개최의 상관관계 및 경쟁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UIA기준 국제회의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3권 제1호, pp.327-344
- • 2008. 09월 “참가업체의 전시회 사전․현장프로모션 활동과 부스직원 교육이 기업이미지 구축 및 관계개선성과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제10권 제3호, pp.41-57
- • 2008. 03월 “온라인 전시회(on-line exhibition)의 특성 분석 및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8권 제1호, pp.157-173
- • 2008. 02월 “기업의 무역전시회(Trade Show) 참가목표 설정 및 성과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무역학회지 제33권 제1호, pp.205-224
- • 2007. 06월 “무역전시회(Trade Show)의 브랜드충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9권 제2호, pp.141-160
- • 2006. 04월 “국내 무역전시장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권역별 전시장 수요추정 및 공급시기 판단을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09~136
- • 2006. 04월 “국제촉진수단으로서의 무역전시회(Trade Show)의 효과성 및 전략적 활용방안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8권 제1호, pp.305-323
[주요 성과분석 컨설팅]
-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4), 해외전시회 참가기업 단위 성과분석 용역
- - 킨텍스(2024), 2024 경기도 전시참가기업 성과관리 용역 연구책임자
- -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회(2023), 2023 한국전자전(KES)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책임자
- - 광주광역시관광공사(2023), 2023 광주 ACE Fair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수립 연구책임자
- - 한국전력/이즈피엠피(2022), 2022 BIXPO 개최성과 및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1), 2021 KOAA-GTT SHOW 발전방향 연구책임자
- - 한국관광공사(2021), 2021년 레저산업형 융복합 MICE(스마트테크코리아) 컨설팅 연구책임자
- - ㈜디자인하우스(2019), 2019 서울리빙디자인페어개최성과 분석 연구책임자
- - 서울시NPO지원센터/㈜플랜아더(2019), 2019 NPO 파트너 페어 성과분석 연구책임자
- - 인천관광공사(2017), 송도컨벤시아 우수전시회 개최지원사업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7), 2017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발전방안 연구책임자
- - aT센터(2016), 2016 대한민국식품산업대전(KFS) 참가기업 성과조사 분석 연구책임자
- - 김대중컨벤션센터(2014-17), 광주 ACE Fair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수립 연구책임자 외 다수
- - 한국전시산업진흥회(2015), 해외전시회 성과측정 시범적용사업 결과분석 연구책임자
- - 산업부/AKEI(2014), 국고지원 해외전시사업 평가체계/시스템 개선방안 연구책임자
- - 한국무역협회(2012), 해외 전시회 국고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용역 연구책임자
- - 경기중기종합지원센터(2014), G-fair Korea 성과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 연구책임자
- - 경기도청(2010~13), 경기도 국내개최 전시회 지원사업 성과분석 연구책임자 外 다수